본문 바로가기

럭셔리호텔

2025, 얼티마 콜렉션이 선뵈는 럭셔리의 새로운 장 ‘얼티마(Ultima)’라는 이름이 담고 있는 가치‘Ultima’는 라틴어로 ‘마지막’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단어는 단순히 시간적 끝을 넘어, ‘최후의’, ‘궁극의’라는 상징적인 의미로 종종 사용된다. 이는 단어 자체가 지닌 깊은 철학과 함께 최상의 것, 더 이상 대체할 수 없는 최고의 가치를 담고 있음을 암시한다. 얼티마 콜렉션(Ultima Collection)은 바로 이 단어의 의미를 브랜드 철학에 녹여내며, 단순한 럭셔리를 넘어 여행객들에게 인생에 남을 궁극적인 경험을 선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25년, 얼티마 콜렉션은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통해 이 철학을 한층 더 확장하며 글로벌 호스피탈리티의 새로운 장을 열고자 한다. 기사 전문은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 더보기
팡코르 라웃 리조트의 매혹적인 럭셔리 말레이시아 서해안의 비밀스러운 프라이빗 섬, 팡코르 라웃 리조트는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이다. 자연과 인간이 빚어낸 아름다움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이곳을 찾는 모든 이에게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2003년 에서 ‘세계 최고의 리조트’로 선정되며 그 진가를 널리 알린 바 있으며 단순한 휴양지 이상의, 고급스러움과 자연이 교차하는 독보적인 휴양지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고 있다.  약 2000만 년 된 열대우림에 둘러싸여 자연의 경이로움을 그대로 간직한 채 모던한 럭셔리를 제공하는 팡코르 라웃 리조트. 고객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과 하나 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진정한 쉼터로서 생태계 보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철학을 가지고 있다. 기사 전문은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더보기
우아함에 대한 끊임없는 고찰의 산물, 아르마니 두바이 & 아르마니 밀라노 호텔 궁극의 럭셔리 함과 세련미, 몰입감 넘치는 문화 경험을 원하는 안목 있는 한국인 여행객에게 두바이와 밀라노의 아르마니 호텔은 호스피탈리티의 정점을 보여주는 곳이다. 전설적인 디자이너, 조르지오 아르마니가 구상한 이 상징적이면서도 기품 넘치는 이 호텔들은 단순한 숙박 시설 이상의 라이프 스타일과 경험을 제공하며 비교 불가한 럭셔리와 우아함의 극치를 선사한다. 럭셔리 여행을 즐기는 이들에게는 이미 정평이 나 있는 아르마니 브랜드의 특징인 세심한 디테일과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더욱 특별하게 다가올 것이다. 호텔 직원들은 고객의 구체적인 요구와 선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완벽한 교육을 받았으며, 높은 수준의 고객 환대에 부합하는 맞춤형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급스러움과 세련미의 .. 더보기
럭셔리와 지속가능한 본질을 말하다 - 바와 리저브(Bawah Reserve) 매일 매일 반복되는 숨 막히는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에 빠져들고 싶은 여행자들을 위한 파라다이스, 바와 리저브는 인도네시아에서 만날 수 있는 아시아의 몰디브로 알려진 이색적인 휴양지다. 마치 시간이 멈춘 듯 고요하고 평온한 하루 하루를 이색적인 리조트에서 보내며 진정한 럭셔리를 경험할 수 있는 바와 리저브는 ‘리저브’라는 말의 뜻처럼 자연 그대로를 보존하고 오랜 시간 동안 지켜 나갈 수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선사한다.  변치 않는 바와 리저브의 아름다움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현재 진행형이다. 인도네시아 휴양섬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서 섬이 가장 많은 국가다. 주요 섬은 수마트라, 자와, 보르네오, 슬라웨시 등이 대표적이다. 인도네시아의 인기 휴양지.. 더보기
전통과 현대, 럭셔리 그리고 지속가능성 - MAROMA 호텔 - *이 글은 지속가능한 도시관광연구소 디지털 아카이브(blog.naver.com/instsut)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이번 호의 지속가능한 호텔은 마로마 벨몽드 호텔(Maroma, a Belmond Hotel)이다. 2년간의 재단장을 마치고 2023년에 재개장한 마로마 호텔은 EarthCheck Design Certification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프로젝트임이 인증됐다. 럭셔리 산업의 대표주자 LVMH, 그들이 선택한 호텔 브랜드 벨몽드, 그리고 천혜의 자연환경에 위치한 마로마 벨몽드 호텔. 1976년 Jose Luis Moreno가 개인 휴양시설로 건설한 마로마 호텔은 벨몽드 브랜드의 리조트로 최근에 주요한 이미지 변신 과정을 거쳤다. 디자인 스튜디오 Tara Bernerd & Partne.. 더보기
알프스의 완벽한 안식처, 포레스티스 돌로미테(Forestis Dolomites) 이탈리아 북부 알프스 산맥의 동쪽 끝에 위치한 돌로미테 지역은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으로 지정됐다. J. R. R. 톨킨은 젊은 시절 돌로미테를 여행하며 반지의 제왕을 집필하는 데 큰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이곳을 찾는 여행객들은 알프스의 자연 경관을 만끽하는 동시에 중세 유럽의 풍경을 그대로 간직한 소박하지만 정감이 흘러 넘치는 마을을 방문하며 유럽 소도시의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돌로미테의 별명인 ‘창백한 산맥’은 이 지역을 이루는 돌로마이트(백운석)가 특유의 밝은 백색을 뿜어내는 데서 유래했다. 돌로미테의 지질학적 특성은 해질녘 펼쳐지는 색의 향연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한다. 파스텔 톤의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그림 같은 마을이 초록빛 계곡에 자리하고 중세 성들이 산 .. 더보기
호텔앤레스토랑 - 코로나 시대, 럭셔리를 말하다_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고객을 위한 진정성 코로나19와 새해를 함께 맞이할 줄은 누구도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코로나19의 장기화 및 백신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으로 인해 호텔업계의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여행의 대체재로서 국내 호텔의 수요는 적지 않은 모습이다. 특히 여행에 대한 반등 수요와 병역에 대한 신뢰로 럭셔리 호텔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럭셔리 호텔이 각광받고 있는 이 시점, 과연 호텔들이 말하는 럭셔리의 의미는 무엇이며 코로나 시대, 점차 비대면이 선호되는 상황에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많은 호텔들, 오픈 때마다 ‘럭셔리’ 용어 사용 요즘 들어 럭셔리의 대중화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럭셔리’라는 단어를 많은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급 제도를 기준으로 5성급에 .. 더보기
호텔앤레스토랑 - 코로나 특수로 반등한 럭셔리 소비, 막혀있던 호텔 럭셔리 마케팅의 물꼬 트나 전통적으로 위기일수록 빛을 발하는 럭셔리 시장. 불황기에 아이러니하게도 고가 상품이 잘 팔린다는 속설은 코로나 시대에도 단순한 속설이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럭셔리 소비가 활성화되며 전체적으로 소비 시장이 위축돼있는 가운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에 ‘플렉스(Flex)’와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며 라이프스타일이 변화, 럭셔리 소비의 주체로 MZ세대들이 새롭게 떠오르면서 럭셔리 브랜드 마케터들은 이들의 동태를 살피는데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높아진 국내 호캉스 수요에도 여지없이 럭셔리 소비 니즈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이에 특급호텔들은 각종 프리미엄 패키지를 통해 특수를 노리고 있다. 그동안 업계의 부침으로 특급호텔의 럭셔리 마케팅이 가성비 경쟁에 치.. 더보기
호텔앤레스토랑 - 한국 호텔업계 럭셔리 마켓의 가능성을 보다 Small Luxury Hotels of the Worlds 마크 웡(Mark Wong) 아태지역 부사장 Small Luxury Hotels of the World(이하 SLH)는 이름처럼 스몰 웰메이드의 럭셔리 호텔을 엄선해 멤버십을 구성한 소프트 브랜드다. 약 30년 전 시작해, 현재는 전 세계 80개국의 534개 호텔, 그리고 4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SLH는 호스피탈리티 잡지 에서 선정한 소프트 브랜드 중 가입 객실 수 기준 12위에 랭크됐는데, 콘셉트를 ‘작은 럭셔리함’으로 한정지었음에도 불구하고 영향력 있는 규모를 갖췄다. 지난 4월 5일, 2019 부산 호텔쇼를 위해 한국을 찾은 SLH의 아태지역 부사장 마크 웡을 만났다. 호텔업계에서 럭셔리 마켓이 부족한 한국 시장에서 마크 웡은 어떤 가능성을 보았을지, 그의 비전과 함께 이야기를 나눠봤다. Small Luxury Hotels of the.. 더보기
호텔앤레스토랑 - 럭셔리 호텔, 특급호텔의 이정표가 될 수 있을까? 최근 2~3년간 사드와 여타 주변 환경에 따라 호텔시장이 전체적으로 주춤하면서 호텔들이 혈투를 벌이고 있다. 특히 특급호텔들이 저가 정책을 실시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호텔의 문턱이 낮아져, 특급호텔의 스페셜리티가 사라지고 있다. 이에 몇몇 호텔에서 ‘럭셔리’를 각자의 스페셜리티로 가져가고자 한다. 우리나라에도 럭셔리 호텔 브랜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대했던 바와 다르게 명확한 포지셔닝이 되지 못한 채 일부는 리브랜딩 되거나 심지어는 문을 내리기도 했다. 다시 한 번 럭셔리 호텔이 특급호텔들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까? 변화가 필요한 특급호텔 특급호텔들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2015년부터 호텔업계에 닥친 연이은 악재를 타개하고자 호텔의 문턱을 낮춘 것이 양날의 검이 된 모양새다. 메르스부터 시작된 호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