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tel & Resort

알아두면 쓸데있는 호텔주차 5성 호텔 주차장 운영 현황지난 호에 호텔들의 주차장 운영안을 살펴본 데 이어 이번 호에 5성, 다음 호에서는 4성 호텔들의 주차장 운영 현황을 게재한다. 주차장 운영현황은 2025년 1월 기준, 온라인 예약 채널 ‘여기어때’ 예약 페이지를 참고했으며, 별도의 안내가 없는 경우, 호텔 프런트에 문의해 직접 조사했다. 5성, 4성 호텔 리스트는 2025년도 1월 기준,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호텔업등급관리국 등급결정 호텔리스트를 참고했다. 기사 전문은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기사를 클릭해 보세요. [호텔앤레스토랑] [Zoom In] 알아두면 쓸데있는 호텔주차5성 호텔 주차장 운영 현황지난 호에 호텔들의 주차장 운영안을 살펴본 데 이어 이번 호에 5성, .. 더보기
리버풀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핵심, 타이타닉 호텔(TITANIC HOTEL LIVERPOOL) - 이 글은 지속가능한 도시관광연구소 디지털 아카이브(blog.naver.com/instsut)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타이타닉 호텔 리버풀(Titanic Hotel Liverpool)은 역사적인 도시인 리버풀을 상징하는 지역 중 하나인 스탠리 독(Stanley Dock)에 위치하고 있다. 로열 앨버트 독(Royal Albert Dock)의 설계자인 제시 하틀리(Jesse Hartley)가 설계한 스탠리 독은 머지(Mersey) 강 입구에 있으며 리버풀 항구의 일부로 한때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완벽한 부두 시스템이었다. 타이타닉 호텔 리버풀은 역사적인 스탠리 독 부두 복원 프로젝트의 핵심이기도 하다. 활력이 넘쳤던 창고는 이제 개성 넘치는 호텔로 변신해 빅토리아 시대의 독창적인 건축 양식과 현대적인 디.. 더보기
일본 호스피탈리티산업의 새로운 보석, 온고지신’ 마쓰야마 도모키 대표 개인적으로 일본의 호스피탈리티 분야의 저력을 느낄 때는 변화를 이끌고 시장을 주도하는 새로운 경영자가 출현하는 것을 지켜볼 때다. 지금 일본에서 리조트 운영과 재생의 경영자로 주목받고 있는 인물은 주식회사 온고지신(温故知新)의 마쓰야마 토모키(松山知樹) 대표다. 의 34주년 창간 기념호를 위해 100년 역사의 키쿠치칸지츠 토모 기념 미술관(菊池寛実記念 智美術館) 내 온고지신이 운영하는 카페 레스토랑 ‘사후(茶楓)’에서 그를 만났다. 기사 전문은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기사를 클릭해 보세요. [호텔앤레스토랑] [전복선의 Hospitality Management in Japan] 일본 호스피탈리티산업의 새로운 보석, '온개인적으로 일본의 호스피탈리티 .. 더보기
"호텔에서 맞이하는 특별한 첫 생일", 국내 호텔 돌잔치 트렌드 - 럭셔리와 맞춤형 서비스로 진화하는 ‘VIB’ 마케팅의 세계 한국의 돌잔치는 아이가 태어나 첫 번째 생일을 맞이했을 때 치르는 전통 의식으로, 아이의 앞날이 번영하기를 기원하는 한국의 오랜 풍습이다. ‘돌’이라는 말은 열두 달을 한 바퀴 돌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과거 유아 사망률이 높았던 시절에는 첫 생일을 무사히 넘긴 것을 기념하고 아기의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컸다. 돌을 맞이했다는 것은 생의 한 고비를 넘기고 이제 사람으로 대접받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중요한 계기였다. 은 서른네 번째 생일을 맞이해 초심을 돌아보고자 최근 호텔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돌잔치 트렌드를 분석해 봤다. 특히 2024년 들어 호텔 돌잔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호텔의 ‘럭셔리 돌잔치’ 트렌드가 자리 잡게 된 .. 더보기
2023년 호텔업 등급별·지역별 종사자 현황 *2, 3월호에 2023년 전국 관광숙박업 등록현황, 2023년 전국 호텔업 운영현황, 2023년 주요지역 호텔업 운영현황(서울, 부산, 제주, 경기, 인천, 강원지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자료 출처_ 한국호텔업협회 기사 전문은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기사를  클릭해 보세요. [호텔앤레스토랑] [Hotel Statistics] 2023년 호텔업 등급별·지역별 종사자 현황*2, 3월호에 2023년 전국 관광숙박업 등록현황, 2023년 전국 호텔업 운영현황, 2023년 주요지역 호텔업 운영현황(서울, 부산, 제주, 경기, 인천, 강원지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 출처_ 한국호www.hotelrestaurant.co.kr호텔과 외식, 관광에 대.. 더보기
2025 호스피탈리티 트렌드 2025년, 호스피탈리티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과 환경적 요구에 부응하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글로벌 위기와 팬데믹 이후 웰빙, 지속가능성, 그리고 개인화된 경험에 대한 수요가 전례 없이 증가하면서 여행과 호스피탈리티의 개념도 재정의되고 있다. 여행은 단순한 장소 이동을 넘어, 스트레스 관리, 재충전, 그리고 감각적 몰입을 중시하는 새로운 경험 중심의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해 수면관광(Wellness Sleep Hubs), 다크 호스피탈리티(Dark Havens), 서늘한 기후 여행(Cooler-Climate Travel), 대체 여행지(Dupe Destinations)와 같은 트렌드가 등장하며, 웰빙과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서비스와 공간 디자인이 .. 더보기
2025 전국 주요 4성 호텔 경영 전략 및 비전 下 - 지역과의 상생으로 지역 발전 견인  국내외 심각한 경기 침체가 예상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행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여 국내 호텔산업에 청신호가 켜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반면 국내 호텔 간, 다양한 숙박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되며, 2025년은 어느 때보다 호텔별 차별화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올해 4성 호텔들은 타깃 고객을 대상으로 좀더 세분화된 패키지와 프로모션을 선뵈고, 우리 호텔에서만 할 수 있는 ‘경험’의 가치를 중시, 다양한 체험활동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4성 호텔들은 규모에 따른 운영의 묘를 살리기 위해 디지털 전환에 보다 빠르게 합류하고 있으며, 지속가능 경영을 꾸준히 실천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더보기
고객의 부정적 피드백은 어떤 내용이 많을까? - 숙박세일페스타, 가격 관리 데이타 2025년 숙박세일페스타가 지난 3월 진행됐다. 숙박 할인권은 2월 28일부터 3월 30일까지 구매 가능했으며,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지역에 한정해 사용할 수 있었다. 할인혜택은 7만 원 이상 숙박상품 예약시 3만 원, 7만 원 미만의 경우 2만 원이 할인돼 국내 여행을 활성화하고 숙박을 포함한 관광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지난 2024년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모니터링 운영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악의적으로 숙박가격을 인상한 사실이 적발돼 정부가 쿠폰 지원금을 미지급한 사례가 1625건으로 확인될 만큼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정부가 7만 원 이상 숙박상품 예약 시 3만 원 할인권을 지급한.. 더보기
봄을 알리는 호텔 소식 봄이 오는 소리, 호텔에서 들리고 있는데요. 봄맞이 패키지와 입맛을 깨우는 봄 다이닝 소식, 전해드립니다. Spring Package 오크우드 프리미어 인천 달콤한 봄맞이 호캉스, ‘블룸 앤 버블 패키지’ 오크우드 프리미어 인천  달콤한 봄맞이 호캉스, ‘블룸 앤 버블 패키지’ 블룸 앤 버블 객실 패키지는 오크우드 프리미어 인천이 소속된 한무컨벤션의 통합 멤버십 고객들을 대상으로 룸온니(Room Only) 가격의 패키지에 포함된 다양한 혜택을 모두 무료로 제공한다. 객실 1박과 함께, 국내 대표 크래프트 사이다 브랜드 ‘댄싱사이더’의 애플사이더 1병, 프리미엄 배쓰밤 브랜드 ‘배쓰프로젝트’의 배쓰밤 1개, 그리고 호텔 레스토랑과 바에서 사용할 수 있는 1~10만원 상당의 식음 바우처까지 포함돼 있다. 6.. 더보기
호텔의 새로운 가치를 정의하다… 2024 호텔업 등급제도 개편안 전격 해부 국내 호텔업 등급제도가 전면 개편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협회중앙회는 지난 12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24 호텔업 등급제도 공청회’를 개최하고 등급평가기준 및 지표 개선안을 발표했다. 1971년 도입된 등급제도는 2015년 대대적으로 개편이 이뤄졌고, 이후 지표 개정이 부분적으로 진행돼 왔다. 이번 개편은 성급별로 분리돼 있던 현장평가 기준을 통합하고, 주관적 평가요소를 객관화해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공청회에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기존 성급별 상이했던 평가표를 하나의 통합 평가표(700점 만점)로 일원화하고,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던 항목들을 구체적인 수치와 명확한 기준으로 재정립했다. 아울러 ‘필수항목’을 명확히 해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등급을 보류하는 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