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tel & Resort

지친 삶에 매직 모멘트가 필요할 때, 포시즌스 호텔 서울과 서울신라호텔

포시즌스 호텔 서울(좌), 서울신라호텔(우)

 

모든 글이 어렵지만 평론은 특히 그렇다. 주관이 들어가는 예술은 더더욱. 그래서 쓰기 어렵지만 읽기도 어렵다. 개인적으로는 클래식 음악평론이 잘 안읽힌다. 일단 악평이 없다. 둘째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셋째 가장 큰문제, 거기서 거기다.

먼저 악평이 없다. 중간에 연주 자체를 멈춘 피아니스트 윤디리의 ‘의도적 방임’ 정도가 아니면 어지간하면 극찬이다. 다시 말해서 호평이 아닌 극찬이다. 둘째,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용어 하나하나가 이해 안 간다는 게 아니다. 할말이 없으니 아티큘레이션, 프레이즈, 피아니시모, 비르투오소 이런 현란한 용어들이 본질을 감춘다. 애초 감춰진 그곳에 본질이 없음을 숨기기 위해서 혹자는 너무 많은 용어를 남발한다.

마지막으로, 거기서 거기다. 록 음악의 속지는 사실 읽는 것만으로도 많은 것을 준다. 드럼 하이햇의 활용, 베이스 리프가 끌어가는 밴드 사운드, 하이 보컬과 드럼의 조화 등 곡 자체의 특징이 그림 그려지듯 설명된다. 까닭은 모든 밴드의 곡은 연주될 뿐 아니라 작곡되기 때문이다. 당연히 새로운 그들만의 곡이니 새로운 연주일 수밖에 없다. 쓸 것도 건질 것도 많은 이유다.


반면 클래식은? 안타깝게도 18~19세기에 멈춰있다. 도발적으로 들리지만 영 틀린 말은 아닌 것이 상업적으로든 예술적으로든 현대음악보다는 고전음악과 낭만음악이 쉽다. 곡이 쉽다는 게 아니다. 그게 ‘쉬운 길’이기 때문이다. 베토벤과 모차르트 그리고 쇼팽과 리스트, 라흐마니노프, 좀 더 나가면 프로코피예프와 바르톡 더 나아가면 알캉과 그라나도스. 어찌 됐건 청감(聽感)은 옛날에 머문다. 청중도 새로운 곡보단 같은 곡을 여러 연주를 통해 듣는 게 익숙하다.

베토벤의 피아노 곡만 하더라도 알프레드 브렌델, 다니엘 바렌보임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빌헬름 켐프, 타티아나 니콜라예바 등등 스페셜리스트는 많다. 이들을 연주만 듣고 구별해낼 수 있을까? 와인업계에서 비교 자체를 거부했던 보르도 그랑크뤼 와인들은 블라인드 테이스팅으로 치러진 ‘파리의 심판’에서 캘라포니아 와인에 왕좌를 내줘야 했다. 당시 평론가들은 프랑스 당대 와인업계의 거물들이었다. 블라인드 리스닝은 우열을 취향의 문제로 바꿀 수 있다.

이거, 생각보다 중요한 문제다. 요약하면, 나의 경우 아무리 들어도 베토벤 음악의 심연은 알 길이 없고, 와인 역시 그렇게나 마셔도 쉬라와 메를로를 어떻게 구별하는 것인지 아직 이해가 안 간다. 하지만 이거 하나는 말할 수 있다.  

호텔은 하나하나가 명백하게 자신의 색깔을 온전히 드러낸다. ‘포시즌스’ 하면 그려지는 럭셔리한 컨디션이 있고, ‘신라스테이’ 하면 그려지는 컴팩트한 포지션이 있다. 오늘 이야기할 호텔은 일관된 품격과 컨디션을 고객에게 온연히 제공하는 서울의 두 럭셔리 호텔에 관한 이야기다.

 


기사 전문은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기사를 클릭 해주세요.

 

[남기엽의 Hotel Notes] 지친 삶에 매직 모멘트가 필요할 때, 포시즌스 호텔 서울과 서울신라호텔

모든 글이 어렵지만 평론은 특히 그렇다. 주관이 들어가는 예술은 더더욱. 그래서 쓰기 어렵지만 읽기도 어렵다. 개인적으로는 클래식 음악평론이 잘 안 읽힌다. 일단 악평이 없다. 둘째 읽어도

www.hotelrestaurant.co.kr


호텔과 외식, 관광에 대한 심층적이고 다채로운 기사들은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과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