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2003년 사스(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와 2007년 세계 금융 위기 때보다 악화된 상활을 겪고 있는데, 그 중 파산신청을 하고 있는 자국민이 늘어나고 있어 암울한 분위기가 심화되고 있따. 2019년 미·중 무역전쟁을 시작으로 개인 파산이 매년 9% 이상 증가해, 해마다 8000명 이상의 국민이 파산을 하고 있어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불균형이 염려되는 시점이다. 홍콩의 경우 유럽, 미국, 한국 대비 실직자에 대한 보상 및 실업 수장이 제한적이어서 직원들의 불안감이 최고조에 달해 있다.
세계가 전반적으로 침체기지만 홍콩이 단연 가장 힘든 시기를 거치고 있는 건 미·중 무역전쟁을 시작으로, 중국 경제성장 둔화와 아직도 끝나지 않은 홍콩의 반정부 시위, 그리고 연초부터 확산된 코로나19 사태로 홍콩 경제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아시아 경제의 중심인 홍콩 소재의 은행들마저 위기를 겪고 있어 타 업계들도 긴장을 늦추지 않는 추세다.
최근 맥킨지 리포트에 따르면 코로나10로 인한 모든 업계의 타격은 상당하다. 짧게는 2020년 2분기, 길게는 4분기까지 상황을 회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장 많은 타격을 입은 업계는 관광업(호텔 및 식음료 포함)과 항공업인데, 특히나 호텔업계는 회복에 상당시간이 소요돼 4분기쯤 점차 회복세를 보일 예정이다.
호텔 및 관광업
최근 맥킨지 리포트에 따르면 코로나10로 인한 모든 업계의 타격은 상당하다. 짧게는 2020년 2분기, 길게는 4분기까지 상황을 회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장 많은 타격을 입은 업계는 관광업(호텔 및 식음료 포함)과 항공업인데, 특히나 호텔업계는 회복에 상당시간이 소요돼 4분기쯤 점차 회복세를 보일 예정이다.아시아 전체 관광업 매출은 Hub City(상업 중심지: 홍콩, 싱가포르 등) 기준 2월 전년도 대비 80~90% 이상 감소했다. 또한 유럽 대표 도시(프랑스, 이태리 등)의 경우 중국관광객의 발이 묶이고,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며 매출이 전년도 대비 40% 이상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2019년 기준 중국인 관광객이 유럽에서 소비한 한화 270조 원을 감안한다면 유럽의 경우 100조 이상의 매출이 감소하게 되는 상황이다.
홍콩 호텔업계는 특히나 중국 관광객의 비중이 높아 중장기 전략을 바탕으로 2020년과 2021년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관광객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장기투숙객 유치에 집중하는 호텔이 점차 늘고 있다. 작년 시작된 반정부시위와 코로나19 확산을 기점으로 4, 5성급 호텔은 장기투숙객을 타깃으로한 마케팅 및 파격적인 가격을 선보이고 있다. 홍콩섬 중심인 센트럴, 완차이, 코스웨이 부근의 4, 5성급 호텔의 경우 전년대비 장기투숙 가격이 40% 이상 할인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금융업의 중심인 홍콩의 가장 선호도 높은 셩완, 센트럴, 미드레벨 지역의 경우 주재원 금융인 및 컨설턴트들이 선호하는 아파트의 월세(9~13평의 아파트)가 250~400만 원대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주방이 구비된 호텔에서 장기 투숙하는 편이 더 저렴할 수 있다는 웃지 못할 니치 마케팅을 하는 호텔도 있다.
식음료업
작년 시위가 시작된 이후 수천여 명의 식음료업 종사자들은 강제 무급 휴가를 시작으로, 인건비 절감을 목표로 감원이 시작됐다. 최근 홍콩 레스토랑 식음료 협회(The Federation of Restaurants and Related Trades)에 따르면 홍콩 시위로 적자를 면치 못하던 자영업자들이 코로나 사태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많게는 일주일에 100개의 레스토랑이 폐업을 하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경제적인 측면 외에도 레스토랑 업계에 빈번했던 인종 차별 문제가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면서 식음료업 전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South China Morning Post(SCMP)에 따르면 홍콩의 레스토랑 100개가 담합해 중국인 또는 만다린(중국 표준어) 언어를 사용하는 고객을 받지 않고 오로지 홍콩 현지인에게만 개방한다는 문구를 소셜미디어에 올리는 등 이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홍보하며 지역사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5월 예정이었던 Vinexpo Hong Kong(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와인 엑스포로서 매 분기 프랑스, 미국, 홍콩, 일본이 순서대로 개최하는 박람회) 또한 7월로 연기돼 레스토랑 외 주류 업계의 타격도 만만치 않다. 특히나 홍콩은 아시아에서 와인의 종류가 가장 많고 가격 또한 합리적으로 판매하는 도시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이탈리아 코로나19 감염증 환자가 급증하면서 와인 가격과 수입의 규제에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항공업
아시아 내 국가별 국내선 노선의 경우 2분기 이후부터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국제선 노선의 경우 국가별 여행 금지, 불필요한 출장 자제 및 소비자의 관광 신뢰도를 회복하기까지 최소 3~4분기 이후에나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제선의 경우 바이러스 확산 속도에 따라 유행병으로 바뀔 경우 호텔업과 더불어 내년부터 회복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최선의 관광업 전략이라고까지 할 수 있다.
작년 시위 전까지 홍콩-한국 노선은 일평균 28회가 운항되는(연간 약 500만 석의 공급 투입) High Density 노선 중 하나였다. 일평균 기준으로 홍콩-인천 24회, 홍콩-부산 2회, 홍콩-제주 2회로 꾸준한 수요와 공급을 유지했었으나 홍콩시위와 코로나19 사태로 홍콩 노선의 회복이 불투명해졌다. 대한항공의 경우 홍콩-인천 노선을 일 5편 운항하는 일정으로, 연간 공급석은 편도기준 50만 석/왕복기준 100만 석 수준이었으나 2019년 홍콩 시위 영향으로 8월부터 1편 감편 및 주간편 소형 항공기 투입으로 하반기에는 기존 대비 25%의 공급석이 감소했다. 더불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격히 줄어 이번 1~2월에는 일 3편을 모두 중소형기로 운항하며 공급석 또한 추가로 60% 감소했다. 2월 25일 홍콩 정부의 한국발 홍콩 비거주자 입국 금지에 따라 3월의 경우 대한항공, 아시아나, 캐세이 항공도 전편 운항 취소가 됐으며 현재까지 4월의 운항이 미정 상태이다.
WHO 신종 코로나 팬데믹(Pandemic) 선언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가 3월 11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세계적 대유행, 즉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면서 현 상황은 장기전에 돌입하게 됐다. 특히 세계 각국에서 방문하던 홍콩의 경우 호텔업뿐만 아니라 모두가 한마음으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세계적 공조 정신이 꼭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황나나
인터컨티넨탈 그랜드 스탠포드 홍콩 레베뉴 매니지먼트 디렉터
nana.hwang@icgrandstanford.com
글 : 황나나 / 디자인 : 강은아
'Hotel & Resort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텔앤레스토랑 - <호텔앤레스토랑>과 함께 걸어 온 76인의 THE GM 주인공들 (0) | 2020.04.07 |
---|---|
호텔앤레스토랑 - From 2000 To 2020, 총지배인의 20년 발자취를 돌아보다 (0) | 2020.04.06 |
호텔앤레스토랑 - 코로나19로 인한 싱가포르 외국인 호텔리어들의 시름 (0) | 2020.04.02 |
호텔앤레스토랑 - 호텔 전시기획의 세계 (0) | 2020.04.01 |
호텔앤레스토랑 - 무지호텔의 기획, 디자인, 설계, 운영 외사 UDS_ 카지와라 후미오(梶原文生)대표를 만나다-①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