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 & Cafe,Bar
외식업에 요구되는 이미지 스타일, 메뉴와 식기와의 조화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
2022. 2. 1. 08:38
완벽한 밥상
우리는 호흡, 체온 유지, 섭생을 통해 생명을 유지한다. 그중 섭생은 미각이라는 쾌락을 동반하기에 가장 힘이 있고 그 힘은 공평무사하지 않은 세상사에서 유일하다 할 만큼 공평하게 작용한다. 허기를 찬 삼아 마주 앉은 밥상에서 우리는 서로 똑같은 인간임을 깨닫게 되니 밥상 앞은 차별 없는 공간이며 모두에게 평등한 공간인 것인 셈이다. 또한 한 접시의 요리가 예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타 예술분야처럼 밥상에서 치유와 공감의 기운이 생겨나야 하는데 필자는 그 기운들이 조화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음악이 훌륭한 악기와 연주자, 청중이 있어야 그 기운이 발현되듯이 밥상 역시 장소, 음식과 식기, 함께 먹는 이, 대화, 여러 테이블 아이템들이 결합함으로써 기운이 발현되는 것이다. 잘 구성된 오케스트라처럼 모든 아이템들이 상황에 따라 자기 역할을 배당받고 쓰임에 맞게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그 바탕에는 왜 그 공간에 모여 앉았는지에 대한 이해가 기본이다. 그리고 게스트와 호스트 모두에 대한 배려와 사랑이 있어야 한다.
기사 전문은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기사를 클릭해 보세요.
[Dining Story] 외식업에 요구되는 이미지 스타일, 메뉴와 식기와의 조화
완벽한 밥상 우리는 호흡, 체온 유지, 섭생을 통해 생명을 유지한다. 그중 섭생은 미각이라는 쾌락을 동반하기에 가장 힘이 있고 그 힘은 공평무사하지 않은 세상사에서 유일하다 할 만큼 공평
www.hotelrestaurant.co.kr